티스토리 뷰
목차
트럼프의 상호관세 선언, 세계 경제에 미친 여파
2025년 4월 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0여 개국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공식 부과하며 세계 무역 질서에 새로운 긴장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특히 한국에도 25%의 고율 관세가 적용되면서 국내 기업들의 수출 구조와 경제 전반에 적잖은 파장이 예상됩니다.
트럼프, 미국 기업 유치에 다시 불 지피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지금은 당신의 기업을 미국으로 이전할 적기"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애플을 예로 들며 많은 글로벌 기업이 미국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미국 내에서 생산하면 관세는 '제로'이고, 전기·에너지 공급 및 사업 인허가도 신속히 이뤄진다며, 환경 규제로 인한 지연도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기다리지 말고 지금 하라"는 그의 메시지는 단순한 제안이 아닌, 보호무역주의 강화 선언과도 같았습니다.
80여 개국 대상 상호관세, 한국에도 25% 적용
미국은 이날 오전 0시 1분(동부시간)을 기점으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80여 개국에 대해 세율을 차등 적용하는 상호관세를 발효했습니다.
이는 5일부터 모든 국가에 일괄적으로 적용된 10%의 기본관세를 대체하는 조치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주요 산업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를 도입한 데 이어, 이번에는 국가별로 상호관세라는 고율 조치를 시행하며 무역 전쟁의 수위를 한층 높였습니다.
중국의 강경한 맞대응과 고조되는 갈등
가장 먼저 반응한 국가는 중국이었습니다.
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율을 34%에서 84%로 인상하자, 이에 맞서 미국산 수입품에도 동일한 수준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뿐만 아니라 중국은 미국의 군수기업 6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으로 지정하고, 12개 기업에 대해 이중용도 품목 수출을 제한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습니다.
이는 단순한 무역 분쟁이 아닌, 기술과 안보 이슈로까지 확전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유럽연합도 미국산 제품에 보복관세 추진
유럽연합(EU) 역시 트럼프의 상호관세 조치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대응에 나섰습니다.
오는 15일부터 EU는 미국산 철강과 농산물, 공화당 텃밭 주력 수출품을 겨냥한 최대 25%의 보복관세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이는 미국의 주요 수출 시장이 일제히 관세 보복에 나선다는 의미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도 부메랑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탄입니다.
관세폭탄에 요동치는 글로벌 금융시장
관세 조치가 현실화되면서 뉴욕증시는 큰 폭의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트럼프는 "지금은 매수하기에 적기"라며 시장을 진정시키려 했지만, 실제 투자자들은 관세 충격으로 안전 자산인 미국 국채에 몰리며 금리 급등 현상까지 벌어졌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반등했지만, 여전히 지난해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한 상태로 약세장 국면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제 구상, 어떤 효과 낼까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조치는 단순한 관세 조정이 아니라, 미국 내 생산 유도와 자국 산업 보호라는 경제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됩니다.
석탄 산업 확대 행정명령, 제약 기업에 대한 관세 부과 예고 등도 이러한 맥락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글로벌 공급망은 다시 미국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다만, 글로벌 공급망 혼란, 무역 파트너와의 갈등 심화,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등 주요국에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과 국내 기업의 대응 필요성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은 세계 경제에 중대한 변화를 몰고 오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처럼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은 수출 전략의 다변화와 미국 내 생산기지 확장 등 선제적인 대응이 요구됩니다.
또한 국내 정부 역시 외교적 채널을 통해 관세 면제 협상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할 시점입니다.
앞으로 글로벌 경제의 판도가 어떻게 달라질지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이번 조치는 국제 무역의 불확실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생활정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관세 대응 나선 한미 2+2 협의… 관세 결과발표 전 정리 (0) | 2025.04.25 |
---|---|
나스닥이 주말에도 거래된다고? 위캔나스닥의 뜻과 진실 (0) | 2025.04.14 |
2025 대전 소상공인 경영회복 지원금 조건 확인하고 신청하기 (0) | 2025.03.14 |
서울보증보험 코스피 상장. 첫날 강세… 향후 전망은? (0) | 2025.03.14 |
미국, 트럼프 자동차 관세 한달 유예 결정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