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현대사의 비극, 제주 4·3 사건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

    제주 4·3 사건은 1947년부터 1954년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그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한국 현대사의 비극입니다.

     

    발단은 1947년 3월 1일 삼일절 기념 집회 당시 경찰의 발포로 민간인이 사망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이후 민·관 총파업과 무장대의 봉기, 정부의 강경 진압이 이어지며 갈등은 극단으로 치달았고, 이 과정에서 약 2만 5천여 명에서 3만여 명의 제주도민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건의 전개와 피해 규모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

     

    1948년 4월 3일, 남로당 계열 무장대가 경찰서를 습격하며 본격적인 무장봉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대응해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과 경찰, 서북청년단 등을 동원해 대대적인 진압 작전에 나섰습니다.

    이 시기에는 중산간 마을이 통째로 불에 타거나, 주민들이 집단으로 학살되는 비극적인 상황이 이어졌습니다.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

     

     

    5·10 총선거 이후에도 제주도 내 무력 충돌은 계속되었고, 1954년까지 유격대와 토벌대 간의 충돌은 물론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적인 희생도 발생했습니다.

     

    당시 제주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수가 목숨을 잃거나 실종된 이 사건은 단순한 지역적 갈등을 넘어선 국가적 상처로 남게 되었습니다.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의 여정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

    오랜 기간 ‘폭동’으로 규정되어 침묵 속에 묻혀 있었던 제주 4·3 사건은 2000년, 특별법 제정을 통해 국가 차원의 진상조사가 시작되며 전환점을 맞이합니다.

     

    이후 국무총리 소속 위원회가 구성되어 사건의 진상을 밝히고, 희생자와 유가족에 대한 명예회복 조치가 이뤄졌습니다.

     

    2003년에는 정부 차원의 진상보고서가 채택되었으며, 노무현 대통령이 최초로 공식 사과를 표명했습니다.

     

    2018년 문재인 대통령도 추념식에 참석해 국가폭력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다시 한번 사과의 뜻을 전했습니다.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

     

     

    2022년부터는 희생자에 대한 보상이 본격화되었고, 2024년에는 잘못 기록된 가족관계를 바로잡을 수 있는 법 개정이 이뤄지며 실질적인 명예회복의 폭도 넓어졌습니다.

     

    제77주기 추념식의 의미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

    2025년 4월 3일, 제주 4·3 평화공원에서는 제77주년 희생자 추념식이 열렸습니다.

     

    ‘4·3의 숨결은 역사로, 평화의 물결은 세계로’라는 주제 아래 열린 이번 추념식에는 유족과 도민은 물론 전국 각지의 추모객들이 함께 했습니다.

     

    정부를 대표해 참석한 한덕수 국무총리는 희생자들의 완전한 명예회복과 보상을 약속하며, 유해발굴과 유전자 감식, 복지 확대, 트라우마 치유센터 건립 등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을 다짐했습니다.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

     

    또한 4·3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도 적극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 그리고 문화의 기억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

     

     

    이번 추념식에는 국회의장을 포함한 다수의 정당 대표들이 참석했으며, 이를 통해 제주 4·3이 단순한 지역적 사건이 아닌 전국적 역사로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제주 유나이티드 FC는 매년 4월 유니폼에 동백꽃 패치를 달고 경기에 임하며 4·3의 상징성과 기억을 문화적으로 계승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과제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

     

    제주 4·3 사건은 여전히 진행 중인 역사입니다.

     

    유해 발굴이 계속되고 있고, 희생자의 유족들은 완전한 진상규명과 기억의 공유를 바라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단지 과거의 아픔이 아닌, 앞으로 우리가 어떤 나라를 만들어갈지에 대한 물음표이기도 합니다.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진상조사와 명예회복 현황

     

    화해와 상생, 용서와 평화를 지향하는 4·3 정신은 현재의 우리 사회에도 깊은 메시지를 던지고 있습니다. 지금도 곳곳에 존재하는 이념과 지역, 세대 간 갈등을 넘어서기 위한 교훈으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진정한 기억은 단지 기록에 남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이어질 때 완성됩니다. 오늘 우리가 제주 4·3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이유는, 더 나은 내일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반응형